2024.06.17 (월)

기상청 제공
'강원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'수립 본격화
  •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

지역뉴스

'강원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'수립 본격화

당초 구상안을 보완 발전, 3개 시를 한 권역으로 통합하고 '바이오‧헬스케어‧반도체‧모빌리티'를 공통 특화분야로 선정

\'강원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\'수립 본격화

 

강원특별자치도는 강원연구개발특구 기본구상 전략 발표(4.29) 이후 기업‧관계기관 등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'강원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'수립을 본격화 했다.

특구육성종합계획의 기본방향으로는 당초 춘천‧원주‧강릉을 2개 지구로 구분 특화하려던 구상안을 보완 발전하여 3개 시를 한 권역으로 통합하고, 공통 특화분야로 바이오, 헬스케어, 반도체, 모빌리티로 선정하여 지역별 상호연계성과 산업별 융합 R&D을 활성화시켜 시너지를 높일 계획이다.

이와 함께, 지역별 특화되어 전통적 강점을 가진 주력산업 중심으로 대학‧연구소 및 기업의 연구개발 및 상호협력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.

지역별 주력산업으로는, 춘천은 바이오 및 AI‧데이터 중심
- 최신 생명공학 기술과 지식 활용 다양한 부가가치 생산(항체, 진단, 치료제, 바이오소재 등) 바이오 분야 육성
- AI 활용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, AI 알고리즘 활용 첨단산업(신약, 바이오소재 개발 등) AI‧데이터 분야 육성

원주는 반도체 및 모빌리티, 의료기기 중심
-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 및 관련 제품 생산(모바일, 자율주행 모빌리티 등) 반도체 분야 육성
- 자동차 등 모빌리티 제품 생산‧판매 및 서비스 등 모빌리티 분야 육성
- 뿌리 깊게 특화된 전통 의료기기와 디지털 기술(웨어러블, 센서, AI‧빅데이터) 활용 의료․건강관련 의료기기 분야 육성

강릉은 바이오 및 신소재 중심
- 자연의 추출 및 생산물질(광물 등) 활용 바이오(의약품, 건강 보조제, 기능성 화장품, 맞춤형 식품) 분야 육성
- 세라믹 및 금속의 우수한 물성(고온 안정성, 높은 열전도성 등) 활용 첨단산업(반도체, 전기자동차 등) 신소재 분야 육성

도는 지난해 강원특별법 제2차 개정법률(‘24. 6. 8. 시행) 핵심특례로 '연구개발특구 지정'을 반영했고, 이는 전국에서 첫 사례이다.

연구개발특구는 지금까지 대부분 정부에서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, 도지사가 특구 지정·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강원특별법 특례를 통해 받게 됐으며, 시행령으로 지정요건도 완화할 수 있게 됐다.

도에서는 앞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긴밀히 협조하여 기업 및 연구기관 등과 네트워킹을 활성하고, 3개 시와 협의를 통해 특화분야 범위 및 입지 등을 구체화하는'강원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'을 조속히 수립하고, 주민공람 및 공청회 등을 거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정식 지정 요청할 계획이다.

정광열 강원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는 “강원연구개발특구는 강원특별법 특례를 통해 추진되는 전국 최초의 사례로 큰 의미가 있다”면서, “다른 지역 연구개발특구와 차별화된 우리 도의 강점을 갖춰 지역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3개 시를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열악한 도의 연구개발 여건을 보완하고, 특구 지정을 통해 산업 융복합 연구개발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”라고 밝혔다.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